2025. 4. 3. 10:39ㆍ시사
3일, 시의회 의결 즉시 영남지역에 40억원 추가 지원, 10억원은 예비재원으로 확보
중장비 등 복구장비 임대, 농기계 구매, 임시 조립주택 등 피해 복구 및 생활 안정에 투입
4일~5일 시민‧의료인‧공무원 등 자원봉사자 160여 명 급파, 市 공무원 성금 모금 중
앞서 구호기금 5억원 및 소방헬기‧차량, 소방인력 등 현장 투입… 구호‧진화물품 지원

서울시는 “산불피해 지역에 대한 신속하고 실질적인 구호와 추가 지원을 위한 재원 확보를 위해 서울시의회에 지역교류협력기금 50억원 증액 편성(안)을 긴급 제출했다”고 밝혔다. 3일 오후 열리는 제329회 임시회 본회의에서 의결되면 즉시 40억원을 대한적십자사 서울지사에 기탁하여 영남지역에 긴급 지원하고 나머지 10억원은 향후 풍수해 등 재해·재난 대비 예비재원으로 확보한다.
◇서울시, 시의회와 협의 재난구호자금 신속 집행 등 빠르고 폭넓은 지원
앞서 서울시는 산불 발생 직후인 지난달 24일, 대한적십자사 서울지사를 통해 5억 원의 구호기금을 긴급 지원했다. 아울러 경북‧경남‧울산 등 산불피해 전역에 소방헬기 및 소방인력 총 734명, 소방차량 256대를 현장에 투입하는 등 피해 수습에 적극 동참한 바 있다.
이외에도 공공‧민간과 협력해 쉘터(텐트) 549동, 침구류 13,566개, 의류 30,500개 등 구호물품, 밥차 12대, 진화물품 31만 8,875점 등 종합적인 지원활동을 펼쳤다.
이번 추가 구호금은 지난달 28일 오세훈 시장이 안동체육관에 마련된 임시대피소를 직접 찾아 “이번 산불 피해가 광범위하고 심각한 만큼 서울시의 모든 자원을 활용해 피해지역을 도울 것”이라며 “시의회와도 협의해 재난구호자금의 신속 집행 등 빠르고 폭넓은 지원이 이뤄지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힌 후 즉각적으로 시의회와의 협의를 추진한 결과다.
구호금은 ▶전소 주택 처리 등 복구를 위한 중장비 지원 ▶농기계 구입 ▶임시 조립주택 설치 등 산불 피해가 집중된 영남지역의 빠른 재건에 투입된다. 구호금 규모와 사용처는 영남지역의 긴급 요청을 반영해 결정했다.

◇이재민 생활 안정을 위한 임시주택 건립 등 지원·복구에 최선
특히 경북지역 전소 주택 처리 및 기초 인프라 복원 등에 필요한 백호로더·덤프트럭·살수차 등 중장비 임대 10억원, 농기계 전소로 생업이 막막한 농민 지원을 위한 트랙터·스피드 스프레이어 등 농기계 구입에 17억원, 주택소실로 임시거처가 필요한 이재민 임시주택 설치에 10억원이 투입된다.
경남지역에는 중장비 임대, 임시주택 건립, 구호물품 지원 등 피해 복구와 이재민 생활안정 지원을 위해 3억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한편 서울시는 추가 구호금 외에도 4일(금), 5일(토) 이틀간 산불 피해지역인 경북 안동, 청송, 영덕 3개 지역에 구호소 환경 정비, 이재민 일상생활 지원, 의료봉사 등 현장에서 복구 활동을 지원할 자원봉사자 160여 명을 긴급 투입할 예정이다.
이번에 파견하는 봉사단은 의료진 31명(서울시의사회 등 16명, 한의사‧한의대생 15명), 외국인 봉사단 80명, 서울시 공무원과 서울시자원봉사센터 관계자 57명 등으로 구성된다.
아울러 앞으로 자원봉사 필요 수요가 늘어날 것을 대비해 서울시‧서울시자원봉사센터‧산불 피해 지자체가 함께 전소주택 정비, 집수리, 수목 식재, 일손 돕기 등 맞춤형 중장기 봉사도 추진할 계획이다.
◇서울시, 지자체 차원 뛰어넘어 모든 가용 자원 총동원 전방위적 지원
이와 함께 경북‧경남‧울산 등 산불피해 전지역에 필요한 복구장비와 물품을 부족함 없이 지속적으로 지원하고 이재민과 자원봉사 인력이 머물 수 있도록 서울시수안보연수원(110개실)도 순차적으로 제공할 계획이다.
또 이불, 의류(트레이닝복), 기저귀, 영양제 등 각 지역에 필요한 물품을 최대한 지원하기 위해 현장에서 실시간 조사를 진행과 함께 복구 상황을 지속 모니터링하며 민관 협업체계도 유지해 나간다.

한편 서울시는 3월 26일(수)부터 서울시 전 직원을 대상으로 산불 피해지역을 돕기 위한 성금 모금도 진행하고 있다. 오는 4일(금)까지 모인 성금은 대한적십자사 서울특별시지사를 통해 피해지역에 전달할 계획이다.
오세훈 시장은 “전례 없는 피해를 남긴 영남권 산불은 특정 지역 재난을 넘어, 국가 전체가 함께 대응해야 할 중대한 과제로 서울시의회의 ‘지역교류협력기금 운용계획 변경안’ 의결은 피해지역에 즉각적인 보탬이 될 것”이라며 “이번 기금 증액은 단순한 예산 조정이 아닌 대한민국 수도 서울이 지자체 차원을 뛰어넘어 모든 가용 자원을 총동원하고, 전방위적으로 지원하겠다는 강력한 의지”라고 밝혔다.
사진: KBS News 동영상 캡처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역필수의사제 시범사업 실시, 4개 지방자치단체 선정 (23) | 2025.04.03 |
---|---|
산불 특별재난지역 피해가구, 인터넷 위약금 없이 해지 가능, 3일 오전 9시부터 (1) | 2025.04.03 |
2024년 외국인 환자 유치 117만 명, 아시아 의료관광 ‘중심국가’ 도약 (18) | 2025.04.02 |
보건복지부·서울시, 병원-스타트업 연계한 ‘공동연구 프로젝트’ 공고(4.2.~4.28) (3) | 2025.04.02 |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4월 4일 오전 11시 생중계 (12) | 2025.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