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수상레포츠센터' 1일 개장, "난지한강공원에서 요트‧카약 즐긴다"

2025. 5. 1. 14:14시사

서울 최대 규모 마리나·한강 최초 친수복합시설…그레이트 한강 프로젝트 일환

- 시민 누구나 다양한 수상레포츠 체험 가능…전문가 안전교육 후 수준에 맞게 선택
- 수상‧육상 계류장에 선박 84척 정박 가능, 무동력 수상레저기구 130여 대 안전 보관
- 市, “도심 속 자연과 수상레저 함께 즐기는 한강의 새로운 명소…서울 매력 높일 것”

 

서울시는 난지한강공원 내 설치된 서울 최대 규모의 공용계류장(마리나)이자 한강의 새로운 수상레포츠 명소로 자리잡을 ‘서울수상 레포츠센터’ 운영을 5월 1일(목)부터 시작한다고 밝혔다.

서울수상레포츠센터 전경/ 미래한강본부 한강여가사업부

 

앞으로 시외로 나갈 필요없이 한강에서도 카약이나 요트, 윈드서핑 등 다양한 수상레포츠를 즐길 수 있고, 개인용 선박을 정박하거나 개인 수상레저기구 보관도 가능해진다. 전문가로부터 수상레포츠 체험 지도와 수상 안전교육도 받을 수 있다. ‘그레이트 한강 프로젝트’와 ‘한강 수상 활성화 종합계획’의 하나로 한강 최초의 친수복합시설의 탄생이다.

 

이번에 문을 여는 서울수상레포츠센터는 난지한강공원 인근 월드컵 대교 하류(마포구 한강난지로 162 일대)에 조성된다. ‘수상 계류장’, ‘육상계류장’에 선박 총 84척을 정박할 수 있고 교육장, 탈의실, 샤워장 등 편의시설이 갖춰진 ‘수상레포츠 지원센터’도 운영한다. 센터는 오전 10시 개장해 오후 7시까지 운영하며 매주 월요일은 휴장한다. 수상레포츠 활동은 일몰 후 30분까지 가능하다.

 

시민 누구나 다양한 수상레포츠 체험 가능…전문가 안전교육 후 수준에 맞게 선택

서울수상레포츠센터는 모든 시민에게 열려 있다. 시민 누구나 아름답고 맑은 한강에서 카약과 딩기요트(1~2인용), 킬보트(3~4인용) 등 다양한 수상체험이 가능하다. 모든 프로그램은 수상 안전 이론, 수상레저기구 조작법 등 전문 강사 교육 후 탑승할 수 있다.

 

우선 수상레포츠 경험이 없이도 어린이부터 성인까지 누구나 즐길 수 있는 ‘카약 체험’은 정오부터 2시간 단위로 일몰 30분 전까지 운영 된다. 시간대별로 최대 10명이 이용할 수 있으며 아름다운 노을빛 하늘과 한강을 즐길 수 있는 해질 무렵 선셋카약이 인기가 높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바람의 흐름을 직접 느끼며 항해하는 ‘딩기요트 체험’은 14세 이상의 청소년부터 이용 가능하다. 최소 5명 이상 단체 예약이 필수며 매주 1∼2회 4시간 단위로 운영하며 수준에 따라 초‧중‧상급자용 요트를 맞춤형으로 선택할 수 있다.

 

3인 이상이 협력하고 소통하며 팀워크를 기를 수 있는 ‘킬보트체험’도 14세 이상 청소년이면 탑승할 수 있다. 체험 중심 프로그램(2시간)과 심화 교육프로그램(4시간)으로 나뉜다. 수상레포츠 체험은 현장과 전화(02-302-8812∼4)로 신청 가능하며 5월 중순부터는 네이버 예약도 운영 예정이다. 요금은 성인, 청소년, 어린이 등 1인 기준 1만~8만 원이다.

사진 위 왼쪽부터 수상 계류장, 육상 계류장, 아래는 카약,딩기요트,킬보트/ 미래한강본부 한강여가사업부

 

계류장에서 편리하고 안전한 선박‧수상레저기구 보관, 수상‧육상 선택 가능

개인 선박과 수상레저기구를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계류장은 수상과 육상으로 나뉜다. ‘수상 계류장’에는 전장 9m 이하 동력 수상레저 선박이 최대 30척까지 정박가능하다. 특히 즉시 운항이 가능할 정도로 접근성이 높아 시민들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육상 계류장’ 또한 전장 9m 이하 동력 선박 54척과 윈드서핑‧카약 ‧요트 등 무동력 수상레저기구 130여 대를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다. 육상 계류장은 이용자 안전과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동력 기구와 무동력 기구 계류장, 2곳으로 나눠 운영한다. 

 

육상 계류장은 수상에 비해 기상의 영향을 덜 받으며 기구의 관리와 점 검도 용이하다. 계류장 이용 신청은 수상레포츠센터를 방문하거나 이메일로 할 수 있으며, 신청과 관련된 자세한 내용은 서울시 미래한강본부 누리집 (hangang.seoul.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수상레포츠 교육‧체험 프로그램 이용료

 

수상‧육상 계류장 이용료

※ 이용문의 : 02-302-8812∼4 (서울수상레포츠센터)

 

한편 서울시는 서울수상레포츠센터가 수상레포츠 체험공간을 넘어 서울을 대표하는 수상레저 허브로 자리매김하도록 유관단체‧대학‧동호회 등과 다양한 협력 이벤트도 개최할 예정이다. 청소년 세일링 탐사대, 대학생 요트 동아리교육 등 청소년‧청년 프로그램과 함께 클럽리그‧대학리그 등 각종 국내‧외 대회도 유치예정이다.

 

박진영 서울시 미래한강본부장은 “서울수상레포츠센터는 도심에서 자연과 수상레저를 함께 즐길 수 있는 서울의 새로운 명소가 될 것” 이라며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시민들에게 즐거움을 주는 동시에 도시의 매력을 키워 글로벌 도시경쟁력도 높이겠다”고 말했다.